법인세 정산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자료가 필요한데 그중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라는 것이 있습니다. 오늘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란 무엇이고 온라인으로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란?
지방세 세목별 과제증명서는 재산을 증명하는 용도읭 서류로 세목별로 지방세를 얼마나 부과했는지 납세자가 직접 증명하는 서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세목이라 함은 세금의 종류인 재산세, 주민세, 등록면허세, 자동차 세 등을 말합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
발급은 방문 발급, 무인발급기 발급 그리고 온라인 발급이 있는데, 아무래도 가장 편리한 방법인 온라인 발급을 선호합니다. 게다가 온라인 발급을 제외한 나머지 방법은 모두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온라인 발급을 안 할 이유가 없겠죠? 온라인 발급은 정부 24 홈페이지나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위택스 발급 방법
1. 먼저 위택스 사이트에 로그인을 하고 납부결과 탭에서 증명서 발급 -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은 신청서가 뜨는데, 납세자 인적사항은 이미 로그인을 한 상태이니 반영이 되어있을거고, 과세물건지 주소와 과세년도, 사용목적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과세물건지는 법인의 경우 사무소 본점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과세년도는 해당년도 그리고 사용목적은 솔직하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3. 그럼 다음과 같이 과세내역 목록이 뜨고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에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4. 그럼 다음과 같이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열람 및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발급 방법
정부24에서도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 로그인 하시고 검색창에 지방세라고 검색하신 후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클릭합니다.
2. 세목별과세증명을 클릭합니다. 방문수령과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3. 다음은 인적사항과 과세물건지 주소, 과세년도, 사용목적을 입력하시고 과세목록 조회를 누르시면 됩니다.
4. 수령방법에 온라인발급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아래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끝입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위택스 발급 방법이 조금 더 편리했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1인 법인 개인사업자 차이점 (ft. 세금, 보험, 비용처리)
'제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월세 특별지원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복지로) (0) | 2024.02.21 |
---|---|
소상공인 전기요금 감면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0) | 2024.02.18 |
신용점수 600점 700점 800점 900점 올리는 방법 (1) | 2024.02.14 |
신용점수 등급표 및 내 신용점수 무료 조회 방법 (NICE, 올크레딧) (0) | 2024.02.13 |
신용점수 단기간 빠르게 올리는 방법 (KCB 올크레딧) (0) | 2024.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