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방귀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계신가요. 유난히 방귀가 잦은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냄새가 지독한 방귀도 있죠. 방귀는 사실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병의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방귀가 자주 나오는 이유 그리고 건강과 관련한 모든 궁금증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방귀가 나오는 이유
방귀는 우리가 먹는 음식이 소화되면서 생기는 가스와 호흡을 통해서 유입이 된 공기를 몸 바깥으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방귀의 구성성분은 이산화탄소, 질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음식이 부패하면서 나는 냄새가 섞여있기 떄문에 지독한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방귀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
방귀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음식을 빨리 먹는 경우
음식을 빨리 먹는경우 필연적으로 불필요한 공기까지 같이 섭취하게 되기 때문에 음식의 소화가 원활이 되지 않게 되고 이 때문에 가스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2. 음식을 많이 먹는 경우
음식을 많이 먹는 경우도 소화해야하는 음식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발생되는 가스도 많아지는 것이죠.
3. 식사 후 바로 누워있는 경우
우리몸은 서 있는 경우에 중력에 의해 음식물이 대장까지 원활하게 이동하게끔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식사 후 누워있게 되면 중력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되어 음식물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물러있게 되어서 부패되면서 가스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4. 자극적인 음식을 먹는 경우
자극적인 음식은 대장의 기능을 나빠지게 해서 적절한 소화에 방해가 되고 장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 환경이 나빠지면 변비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변이 오랫동안 몸속에 머무르게 되면 유해균이 늘어나 질병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5. 과도한 탄산음료, 유제품 섭취
탄산음료에 청량감이 느껴지는 이유는 음료수에 가스가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탄산음료를 먹게 되면 과다한 가스가 몸속에 들어오는데 대부분 트림으로 배출하게 되지만 나머지는 몸속으로 들어가 방귀로 배출되게 됩니다. 요거트나 치즈같은 유제품은 동양인이 소화하지 못하는 유당을 갖고 있어서 많이 섭취하게 되면 가스가 발생된다고 하니 적당히 섭취해야 합니다.
6. 과민성 대장 증후군
우리가 예민해지고 신경 과민해질때 장기가 제대로 활동을 못하게 되는데요, 특히 대장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것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도 소화기능이 떨어져 잦은 설사를 하거나 방귀가 잦은 특징이 생깁니다.
방귀가 뜨거운이유
방귀에는 가스와 함께 몸속 열도 빠져나가게되는데 음식 섭취에 따라서 방귀의 온도도 달라지게 됩니다. 특히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을 먹은 경우 방귀에 황성분이 많아져서 온도가 올라간다고합니다. 뜨거운 방귀가 나오면 특히 냄새가 고약하다고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데 이 황의 냄새가 많아서 그런 것이라고 하네요.
방귀가 잦으면 위암의 신호?
방귀와 위암은 직접적인 관계가 있지는 않지만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이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귀가 잦고 지독한 냄새가 난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 아닌지 의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실제로 위암 초기에는 위 조직에 발생한 궤양이 썩으면서 지독한 방귀 냄새를 배출한다고 하고 상복부 불쾌감, 팽만감, 소화불량, 체중 감소 등 다른 증상들이 동반된다면 병원에서 꼭 진단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방귀를 참으면?
방귀는 몸속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인데, 방귀를 오래 참게되면 복무 팽만감이 생기거나 대장의 운동기능이 약해져 변비가 오거나 복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이 하루 평균 13회에서 최대 25회의 방귀를 배출한다고 하니 너무 적거나 많다면 몸에 이상이 있는 건 아닌지 자가 진단 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방귀가 생성되는 이유와 자주 나오는 경우 그리고 방귀가 뜨거운 이유와 위암과의 관련성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결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에서 생활에 도움되는 건강상식들 더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극초기증상 나타나는시기 (아랫배통증, 1주차, 2주차, 임신테스트기) (0) | 2024.04.02 |
---|---|
엄지손톱 검은 세로줄 갈라짐 이유는? (흑색종 의심) (0) | 2024.04.01 |
뎅기열이란? 증상 예방접종 및 백신 등 모든 것 (0) | 2024.03.30 |
2024 국가장학금 1유형 신청방법 (0) | 2024.03.23 |
일본 전염병 STSS 치사율 및 국내 확산 가능성은? (0) | 2024.03.23 |
댓글